노안이 와서 돋보기를 쓰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원거리기준으로 맞춘 안경(근시교정안경)으로 가까이도 보고
멀리도 보는 기능을 다하게 된다. 우리 대부분은 노안이 오기전까지 계속 그렇게 하나의 안경으로 모든 거리를 잘 보며 생활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 노안이 오면 내안근의 근육의 힘이 떨어져서 가까운 곳을 보기가 어려워진다.
그때가 되면 시력적인 불편감때문에 어쩔수없이 근거리의 도수와 시력을 체크한 후 근용안경(돋보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래, 거리에 따라 정확하게
도수를 체크한 후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에 맞춰 안경을 맞추어야 불필요한 조절력, 프리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좀 더 편안한 안경이 된다.
젊었을 때는 조절력도 풍부하고 눈의 기능의 힘이 좋아서 특별히 큰 불편이 없어서 하나의 안경으로 다른 주시거리에 따라 발생된 조절력, 프리즘 등을 무시하고 이겨내는데 만약에 안경착용자의 근시 도수가 높으면서 근거리 작업시간이 길다면, 근거리 전용안경(작업거리 최적화 안경)을 따로 맞추는게 좋다.
: 대부분 사람들은 원거리 안경(먼 곳이 잘 안보여서 맞춘 근시안경) 하나로 멀리도 보고 가까운데도 보는 작업을 한다. 늘 그렇게 생활해왔기 때문에 생소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원래는 시생활을 할 때 원거리에 보는 안경과 근거리에 보는 안경을 구분해서 써야한다. 내가 보고자 하는 거리에 따라 그 거리에 필요한 도수와 그 거리에 맞는 나의 동공간 거리를 정확하게 맞춘 안경을 사용해야 한다. 도수가 크게 높지 않다면(경도근시 정도) 괜찮겠지만(느끼지 못할 정도) 그 이상의 도수이거나 특별히 안경을 쓰고 근거리 작업하는 시간이 긴 사람의 경우에는 근거리에 맞춘 근거리 전용안경(작업거리 최적화 안경)을 따로 처방받는 것이 낫다(전공자는 쉽게 이해할 테지만 일반인은 조금 어려운 이야기일 수 있어서 미안하게 생각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맞추는 근시안경은 멀리에 있는 원거리 시력표를 두고 측정한 기준으로 처방 된 것이다. 그래서 사람의 동공간의 거리도 멀리 보는 기준으로 처방되었다. 그런데 우리가 근거리를 볼때에는주시하는 거리에 따라 필요한 도수와 동공 간 거리도 달라지게된다. 그래서 원거리에 맞춘 안경을 쓰고 근거리를 장시간 보게 되면 불필요한 조절력이 추가로 발생되어 눈이 피곤해진다. 또한 원거리 기준으로 동공간 거리를 맞춘 안경을 쓰고 근거리를 주시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당연히 불필요한 프리즘이 발생되어 안정피로가 가중된다.
고로, 본인의 근시도수가 높으면서 근업시에 안경을 오래 사용하는 자라면 근거리용 안경을 따로 맞추는 것이 좋다.
(저작권 등록번호: 제C-2021-021035 호)
내 modoo! 홈페이지,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
네이버 검색창에 "메디인사이트 by JP@"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
"홈페이지명"에 "@"을 붙여 검색하면
네이버 검색에서 modoo!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기호 @은 영어 "at(~에)"를 뜻하며, 홈페이지 주소 modoo.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